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일해 증상|백일해 원인|백일해 예방접종|백일해 예방수칙

건강관리

by 시니어 114 2025. 2. 4. 14:07

본문

백일해 증상과 원인 예방접종 예방수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들어 감기와 증상이 유사한 백일해라는 질병의 증가수가 지난해에 비해 105배나 증가하면서 근래 들어 가장 많은 백일해에 걸린 환자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백일해는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백일해의 증상과 원인 예방접종과 예방수칙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일해

백일해는 한자 뜻 그래도 백일 동안 기침을 하는 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일해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가지고 있지만 갑작스럽게 짧게 여러 번 발작성으로 기침을 하는 전염병입니다. 특히 1세 미만의 소아들에겐 위험한 질병이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백일해 원인

백일해는 백일해균이라는 세균이 원인입니다. 이 세균은 비말 감염과 접촉이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환자 한 명의 기침이나 재채기로 최대 17명 정도를 감염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전파력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아나 어린이 그리고 보호자와 아이를 돌보는 분들은 백일해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백일해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고 예방 수칙이 지켜지지 않고 여러 국가 간의 교류가 많아진 것이 원인이기도 합니다.

백일해 증상

  • 잠복기 7~10일 동안 증상 없음
  • 잠복기 이후 1~2주 동안 기침이나 재채기
  • 이후 발작성 기침 4주 이상 발생

잠복기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기침이나 재채기의 횟수와 정도가 강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이후 발작성 기침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숨을 들이마실 때 휘파람 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면역력이 있는 성인들의 경우 전염이 되어도 무증상으로 지나갈 수 있지만 면역력이 약한 특히 아이들의 경우 심한 기침을 하면서 구토를 하거나 탈진을 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중이염이나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발작성 기침이 점점 가라앉게 되지만 완전히 회복되는 데에는 발병 후 2~3개월이 걸리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일해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백일하는 예방접종만으로도 80~85% 정도의 예방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아의 경우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백일해 예방접종

  • 생후 2, 4, 6개월 적기 접종 (3회)
  • 15-18개월 (1회)
  • 4-6세 (1회)
  • 11-12세 (1회)

우리나라의 경우 생후 2, 4, 6개월 적기 3회 접종을 시행하고 있고 시기와 연령대 별로 추가접종을 하여 총 6회에 걸쳐 예방접종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추가 접종을 하지 않았거나 유아나 어린이를 돌보는 사람의 경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릴 때부터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접종률이 높기 때문에 고위험군인 1세 미만의 감염사례가 많지 않고 최근 10년 간 백일해로 인한 사망자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현재 백일해로 인한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후 중증으로 발전될 사례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최우선입니다.

백일해 예방수칙

  • 외출 후 손 닦기
  • 기침이나 재채기 시 입 막기
  • 실내 환기 자주 하기
  • 유사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에서 진료

면역력이 약하거나 예방접종이 되지 않는 사람에게는 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수칙에 따라 개인위생이나 기침예절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감기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글

백일해의 원인과 증상 예방접종과 예방 수칙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개인위생이나 마스크 착용 등에 소홀해졌기 때문에 지난겨울을 경우 독감이 크게 유행하였고 올해의 경우엔 백일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위생을 통하여 외출 후 손 씻기와 기침예절을 잘 지킬 수 있도록 하고 감기 증세와 같이 유사한 증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자신과 가족 타인을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현재 발생하고 있는 환자의 대부분이 7세 이상 19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이라고 하니 더욱 신경 쓰고 자녀가 있는 부모님의 경우 자녀의 건강 상태를 잘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